M1 Pro의 GPU는
FP32 기준
2048 ALU @ 1270~1280MHz
128 TMU , 64 ROP
픽셀 필레이트 : 82 기가픽셀/s
텍스쳐 필레이트 : 164 기가텍셀/s
단정밀도 연산성능 : 5.2 테라플롭스
GTX 1660은
픽셀 필레이트 : 86 기가픽셀/s
텍스쳐 필레이트 : 157 기가텍셀/s
단정밀도 연산성능 : 5.0 테라플롭스
이는 GTX 1660과 거의 동일한 수준의 성능을 가진 GPU를 넣었다는 의미입니다.
기존 노트북용 프로세서는 이정도 성능의 GPU를 넣기 위해 별도의 GPU 다이를 양산하여 별도의 VRAM에 연결했지만
애플은 256비트 LPDDR5의 매우 넓은 대역폭의 램을 VRAM과 통합하여 하나의 다이로 묶어서 내놓았습니다.
GTX 1660 VRAM의 대역폭은 192GB/s
M1 Pro의 통합 메모리 대역폭은 200GB/s이기 때문에 대역폭으로 인한 병목현상은 없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10개의 CPU와 16개의 GPU 클러스터, 거대한 NPU를 한 칩에 넣기 위해 칩 하나당 337억개의 트랜지스터를 가지게 되었음.
A14 A15와 M1의 선례를 보면 TSMC의 N5와 N5P는 140MTr/mm^2의 밀도를 가지고 있고, 이를 통하여 역산해보면 M1 Pro의 다이 면적은 250mm^2 가까이 되지 않을까 싶다.
M1 Max의 통합 메모리 대역폭, 그리고 GPU 클러스터 수와 GPU 성능은 M1 Pro의 2배
트랜지스터 수가 570억개이기 때문에 다이 면적은 대략 400mm^2 수준이 될 것입니다.
M1 Max의 GPU는
픽셀 필레이트 : 164 기가픽셀/s
텍스쳐 필레이트 : 327 기가텍셀/s
단정밀도 연산성능 : 10.4 테라플롭스
메모리 대역폭 : 400GB/s
GTX 1080 Ti는
픽셀 필레이트 : 139 기가픽셀/s
텍스쳐 필레이트 : 354 기가텍셀/s
단정밀도 연산성능 : 11.3 테라플롭스
메모리 대역폭 : 484GB/s
FP32 연산성능(ALU 혹은 CUDA), 텍스쳐 필레이트(TMU), 픽셀 필레이트(ROP)와 VRAM 대역폭을 고려해보면
대충 M1 Max의 GPU의 타겟 성능은
1080 <<<<< M1 Max << 1080ti 정도에 위치해 있습니다.
타사의 CPU/GPU와의 전성비 비교
사실 타사 CPU/GPU의 로직 공정은 TSMC N7 계열이나 Intel 10nm SuperFin 공정을 사용하는데 반해
M1 Pro와 M1 Max는 TSMC N5P 공정에서 양산되기 때문에 당연히 전성비 면에서 엄청난 이득입니다.
거기에다가 애플 ARM 아키텍쳐는 타 ARM 아키텍쳐와 비교하더라도 훨씬 더 높은 전성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설계상으로도 한단계 더 높은 셈이죠.
요약
1. M1 PRO와 M1 MAX의 GPU 성능은 각각 1660, 1080ti에 대응
2. 물론 이론상으로 그렇지만 게임 성능은... 애플이라 제한적. 그래픽 작업을 제외한 게임 작업에서 기대하기 어려움
3. 각각 250mm^2 400mm^2의 면적을 가지고 모든 것을 하나로 통합한 칩인만큼 트랜지스터도 빽빽하게 들어가 있음
4. 전성비 매우 좋음
'IT & Tech > APP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1 Ultra의 프리미어 프로 벤치마크 성능 (0) | 2022.03.12 |
---|---|
아이폰 SE3 발표, 성능 출시일 알아보기 (0) | 2022.03.09 |
아이패드 프로 5세대 간단 사용후기, M1 아이패드 추천 (0) | 2021.06.06 |
M1 아이맥 기본형 첫인상 및 성능 살펴보기, M1 아이맥 사도될까? (3) | 2021.06.03 |
아이패드 프로 5세대 매직키보드 화이트 간단리뷰, + 매직키보드 화이트 후기 (0) | 2021.05.30 |